Posted tagged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의 성장. 그리고 예측 이후

10월 26, 2011

소셜 미디어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및 성장을 살펴보면, 미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경우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유저층이 2005년 SNS 관련 사용이 16%에서 2010년 86%로 가장 큰 관심과 활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30대, 50대 그리고 60대 이상 노년층 순으로 SNS미디어 활용도가 나타났다.

Facebook 이 6.4억명에 일방문자 3.1억명으로 중국과 인도 다음으로 세계에서 3rd largest country 였다. 이는 미국 인구의 2배에 해당하며 SNS시장의 63.46%를 점유하고 있다고 한다. YouTube의 경우 20.50% 이다.

 

 

 

 

 

 

 

SNS 진화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12월 5, 2009

싸이월드를 시발점으로 우리나라의 SNS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 같다. 물론 그 전에 아이러브스쿨 같은 SNS 형태의 서비스가 있었지만 싸이월드의 경우 독특한 한국형 SNS서비스로 지금은 다소 주춤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는 네트워크의 연결고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 같다.

미니홈피는 개인의 콘텐츠를 각자 고유한 영역에 담아 ‘일촌’이라는 ‘관계’를 맺고 있는 네트워크 접점과의 교류를 통해 콘텐츠가 공유되는 형태이다. 싸이월드는 미니홈피에 대한 유저들의 애착심을 BM 포인트로 접근했다.  하지만 유저의 입장에서만 보면 일촌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정보유통에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이를 극복해 나온 SNS서비스가 미국에서 1,2위를 다투는 Facebook, MySpace 같은 SNS서비스다. 오픈 플랫폼으로 이루어져 정보 유통 흐름에 보다 진화된 성격이다. 이를 통한 소셜 어플리케이션도 상당히 많다. 자기만의 스킨이 없다. 즉 자기 고유의 콘텐츠를 담아내는 그룻보다는 그릇에 담는 내용 그리고 그 내용이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될 수 있는 구조이다.

 뉴스피드 형태 이후로 진화된 형태가 바로 Retweet 이라는 형태로 실시간 정보전달, 유통 그리고 멀티채널을 가능하게 하는 트위터 같은 SNS서비스다. 팔로우, 팔로어라는 수락과 요청의 관계를 좀 더 느슨하게 하면서 one-way 관계가 가능하면서 정보와 콘텐츠의 유통 속도는 더 빠르게 진화된 구조이다. 친구관계라기 보다는 추종자 그래서 스타와 팬 그리고 정치인과 대중간의 관계 속에서 폭발력 있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 형태가 오늘의 트위터라 할 수 있다.

그럼 Next SNS는 어떤 형태가 될 것인가?..  트위터라고 해서 완벽한 SNS형태를 갖고 있을거라는 생각되지 않는다. 또한 트위터가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수익지대로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다. 실제 비즈스톤이 서울에 왔을 때도 밝힌 바 있고 현재 SNS서비스 사업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그것이다. 

SNS 사업자들의 고민은 아마 여느 맛집을 이용하는 단골 고객이 갑자스럽게 발길을 끊었을 때, 자주가는 쇼핑 장소를 다른 곳으로 옮겼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무척이나 부담스럽게 느껴질 것 같다.  또 한가지는 context collape. 트위터가 큰 반향을 일으키며 순식간에 많은 이용자들이 몰렸는데, 이렇게 동시에 한 사이트에 가입할 때 벌어지는 현상 중에 스터츠먼 같은 학자들이 맥락붕괴(context collape) 라고 말하는 현상이 있다. SNS가 온라인상의 연결 고리를 강화해 나갈때 예상치 못하게 난처로운 불편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온라인 캐릭터를 멀리하게 되고 자신의 정보 공개와 활동을 적극 제한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결국 온라인 대인관계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유저들이 SNS 자체를 외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루저의 난’이 바로 그런 맥락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런 SNS시장 도처에 있는 암초를 극복하고서라도 수익모델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없이는 성장과 진화에 한계가 있을 것 같다. 2~3억명이나 되는 이용자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콘텐츠와 가치는 어마어마할 것이다. 이를 어떻게 유용한 서비스 형태로 이끌어내고 이를 궁극에는 수익으로까지 연결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가 아닐까. 물론 이 과정에서도 SNS서비스는 계속해서 진화의 길을 찾지 않을까 싶다.

Facebook은 친구들의 페이지를 검색해 맛집이나 관광지 및 생활 정보와 아이디어를 얻어가도록 해주는 기능을 선보인다고 하는데 개인 소유의 이용자 제작 자료가 가장 많은 사이트 중 하나인 Facebook에서 이런 회원 간 교류를 통해 내게 필요한 정보를 친구들이 제공하는 새로운 종류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한다는 발상은 분명 지금의 검색 시장 판도를 뒤집을 만한 시도인 것 같다.

이제는 소셜검색, Social Search

10월 29, 2009

“최근 3년간 생산된 정보량이 그 이전 역사 전체보다 더 많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WWW개념을 소개한 Timothy John Berners-Lee가 한 말이다. 미래 검색엔진은 인터넷을 통해 방대한 정보의 바다에서 점점 Smart한 모습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검색엔진의 발달에 따라 인류의 삶의 질에 어떻게든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구글이 찾고자 하는 검색어에 대해 자신이 맺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 안에서 정보를 검색해주는 Social Search 를 선보였다. 최근 이 Social Search와 함께 검색어에 대한 현재 이슈되고 있는 내용을 찾아주는 실시간 검색, Real-time Search 가 핫이슈라고 한다.

트위터를 포함한 여러개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FriendFeed, Google Reader, Flickr 등)와 관련되어 있으며 구글 이미지 검색과 같은 기타 구글 검색서비스에서도 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내 친구들이 올린 사진등을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소셜 기능이 도입되었다.

Social Search 가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대해서는 아래 영상에서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Google Vs Facebook

10월 27, 2009

web2

지난주에 SAN FRANCISCO에서 열린 Web2.0 Summit 에서 미래 웹에서 영향력을 가질, 지배자는 Google 이 아니라 Facebook 이란 주장이 Founders Fund 의 Sean Parker의 ‘The Rise of the Network Company’ 에 의해 제기되었다. 그가 말하는 요지는…

Companies that harness the power of NETWORKS will dominate the Internet

COLLECTING DATA is less valuable than CONNECTING PEOPLE

즉,  웹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와 네트워크 서비스(Network Service)로 구분했을 때, 앞으로는 데이터를 수집(Collecting Data)하는 정보서비스보다 사람들을 연결(Conneting People)하는 네트워크 서비스가 훨씬 더 가치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이다.

web6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 라 하면 위와 같이 Google, Yahoo, CNET , Youtube 등이 있는데 이들은 Network 보다는 주로 정보나 데이터를  모으고 처리하는데 Core Value 집중되어 있다. 반면 Facebook, Ebay, 최근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Twitter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Network Service)는 조직이나 사람간의 관계, Relationship 을 구축하는 것을 Core Value로 두고 있다.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아래와 같은 Metcalfe’s Law를 보면 알 수 있다. 네트워크의 참여자가 많을수록 그 만큼 그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거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결국 네트워크 참여자를 많이 보유한 쪽이 앞으로의 웹을 이끌어나갈 주도적 위치에 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web5

위의  Metcalfe’s Law 말고도 한 가지 더 흥미로운 이슈는 데이터 이동성(Data Portability)이다. 요즘 Open이라는 화두 속에서 오픈웹의 패러다임을 맞이해 한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여 있는 데이터를 다른 서비스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에 있는데, 데이터의 경우 컨버터나 어댑터를 이용해서 그나마 옮길 수 있지만 사람을 옮기게 만드는 것은 아주 어렵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즉, 자신이 맺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포기하고 다른 서비스로 옮겨가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는 주장이다.

web7

마지막 그의 전망을 들어보면, Google의 경우 지금의 영향력을 당분간은 유지하겠지만 점차 그 영향력은 줄어들지 않을까하는 것과 Facebook 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서비스가 앞으로의 미래의 웹을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source :    The Rise of the Network Company미래 웹의 지배자는 구글이 아닌 페이스북일까?, Web2.0 Summit

The World Is Big Enough for Facebook and Twitter

10월 21, 2009

‘The World Is Big Enough for Facebook and Twitter’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Web2.0 Summit 에서 Twitter CEO Evan Williams 가 한 말이다. 경쟁자인 Facebook 을 의식하며 세계는 Facebook과 Twitter가 공존할 정도로 충분히 넓다고..얼마 전 Twitter 창업자인 비즈 스톤이 한국에 방문했었는데 실제로 지근거리에서 보았을 때 느껴지는 포스!!가 대단했다. 청바지를 입고 특유의 미소를 날리며 자신감에 찬 10억 달러의 시장평가를 받고 있는 벤처 창업자다운 모습이었다.

사실 이쯤되면 Twitter의 수익모델이 궁금했었는데..(물론 광고 부분을 배제하고서라도) 비즈 스톤의 인터뷰 내용이나 최근 Web2.0 컨퍼런스에서 CEO 에반 윌리엄스의 얘기를 들어보자면 당장의 수익실현보다는 서비스 향상과 향후 수익모델 기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더 신경을 쓰는 모양이다.

“눈을 감고 오로지 수익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무책임한 일”
“우리는 수익 모델을 찾기 위해 소파에 앉아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다”

노력의 97%를 플랫폼 완성도에 신경쓰고 있다고 한다.
구글의 Adsense나 Adwords같은 “TweetSense”와  “TweetWords” 아이디어가 있으나 아직 구체화는 안된것 같다. 수익성에 대한 부분은 낙관적이면서 당장에 수익실현을 실행하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비즈스톤이 인수제의를 거절하면서까지 Twitter에서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말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을지 그 전략과 미래가 궁금하다.

source : The Social Media Guide

블로그의 진화

9월 21, 2009

우리나라 블로그 계정 수가 2,400만개를 넘어선다는 통계를 굳이 들지 않더라도 요즘 블로그가 지난 2~3년간 양적으로는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임은 분명한 것 같다. 하지만 최근래 블로그는 이제는 단순히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는 듯하다. 마이크로 미디어 영역에서 검색 발달과 함께 미디어적 가치로 주목받게 되면서 최근엔 매스미디어 영역까지 진출하는 1인 미디어 시대를 예고하는 움직임까지 엿볼 수 있었으니깐 말이다. 게다가 기업들도 온라인 상에서 고객들과 소통하는 채널로 기업블로그를 소셜미디어 측면에서 상당한 관심들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

작년 같은 경우, 사회 주요 이슈에 대해 기존 매스미디어가 수동적으로 전달하던 여론의 흐름이 블로그나 각종 소셜미디어의 뉴미디어 형태로 분산되고 개인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시민저널리즘의 꽃을 피우기까지 했다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이제는 개인들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였던 콘텐츠를 직접 자신의 생각과 견해를 반영해 적극적인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끌고 나오는 경향을 드러낸 것이다.

블로그플랫폼 : 이글루스, 테터툴즈

메타블로그 서비스 : 블로그코리아(2003),올블로그(2004),버즈(2005),미디어몹(2006), 블로그플러스(2006), 커리어블로그(2006),블로그미디어(2009)

egloo

블로그는 온라인상에 개인의 일상을 담아내는 일기형식의 공간이 본래의 컨셉이었다. 하지만 포스트라는 콘텐츠들이 하나의 고유주소를 가지고 이들이 인용, 댓글, 트랙백, 공감,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등의 기능들을 통해서 폭넓은 교류와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정보의 자가증식과 전달(유통)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파워블로거, TOP블로거, 스페셜 블로거 등.. 소위 자신의 개인 블로그에 대해 일반 블로거들보다 영향력이 있고 폭넓은 팬을 보유하고 있는 블로거들은 정보와 콘텐츠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블로그로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익모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블로그매체를 활용해 또 하나의 새로운 형태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물론 블로그가 수익추구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점은 블로그라는 고유매체의 이해없이 광고판 정도로만 생각하고 접근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이는 블로그스피어 생태계에서 자정작용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이를 집행하는 주체들의 접근 마인드가 상당히 중요하리라고 본다.

press

블로그의 진화는 현재진행 중…

한국형블로그의 특화된 형태였던 싸이월드, 미니홈피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젊은 세대들의 요구와 취향을 간파해 소셜미디어의 대중화를 가속화시킨 히트 상품으로 꼽는다. 하지만 요즘은 예전만큼은 폭발적인 트래픽을 모으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이에 물론 싸이월드는 새로운 오픈 플랫폼으로 진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그라운드웰 현상이 일어난 결정적 계는 트위터의 한국 상륙이었던 것 같다. 트위터 열풍이 미국에서 시작해 한국형 트위터를 배양하면서 소셜네트워크가 보다 한층 진화된 형태로 가고 있는 것 같다. 물론 블로그는 위에 언급한 특성들로 인해 무한한 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소통, 수익추구, 자기만족, 뉴미디어 출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강력한 도구 등 앞으로는 On-OffLine 연결고리로도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본다.

관련 포스트>

 블로그가 진화하고 있다.

인터넷 공간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거대한 파도:’Groundswell’

광장과 밀실이 공존하는 한국판 트위터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들..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들..

9월 4, 2009

[출처] 소셜 미디어를 장악하라, 천하를 얻으리니|작성자 드림러버

올리버와이만 조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주요 글로벌 기업으로 스타벅스, 도요타, Dell, SAP 등을 꼽는다. 스타벅스의 경우 6명의 전담팀을 통해 홈페이지 뿐만 아니라 각종 소셜네트워크와 소셜테크놀러지를 이용해 UCC, 트위터, 블로그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트위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객들의 불만을 처리하고 있다고 한다. 델의 경우는 내부 직원들의 소통의 도구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 같다. 업무 관련된 아이디어나 의견 등을 꾸준히 개진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 P&G 같은 경우 별도의 고객 평가 사이트(http://tremor.com/index.html) 를 운영해 고객 참여 및 Word of Mouth Marketing 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png

외국 기업들의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 활용과는 달리,

최근 발표된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용 수준 평가 보고서(ENGAGEMENTdb)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전 세계 100대 기업 중 한국 회사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두 곳뿐이었다고 한다. 순위 역시 삼성전자는 26위, 현대자동차는 44위에 그쳤다. 동종 업계 기업인 델(2위)이나 인텔(10위), 도요타(21위)보다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다.

글로벌 컨설팅사인 올리버와이만의 홍범식 서울사무소 대표는 “한국 기업들은 채널의 다양성 측면에선 최상위 기업들과 동등한 수준에 있지만 해당 채널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는 수준 차이가 많이 나 점수가 깎였다”고 설명했다. 홍 대표는 “국내 기업의 문제는 쌍방향성보다는 일방적 정보 전달에만 주력하다는 점에 있다”며 “고객이 직접 활동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 소셜 미디어 활성화의 조건”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공간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거대한 파도:’Groundswell’

8월 30, 2009

“그라운드스웰이란 원래 먼 곳에서 발생한 폭풍 때문에 생기는 큰 파도를 의미합니다. 이런 현상이 바로 오늘날 인터넷 공간에서 한창 벌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나 네티즌들이 싸이월드나 블로그 등 소셜 미디어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기업에 대한 발언권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한 대중적인 움직임은 인터넷 공간에서 거대한 파도를 만들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들과 소통하지 않으면 기업들은 갈수록 생존하기 힘들어질 것입니다….”

‘온라인 비즈니스 전략 콘퍼런스’에서 ‘소셜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성공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위해 방한을 예정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분야의 거물인 조시 버노프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붐 현상을 일컬어 명명한 것이 바로 ‘Groundswell’ 이다.

작은 지^저^귐^이나 한 개인의 목소리가 점차 파급력을 가져다 주면서 소셜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개인생활 뿐만 아니라 기업들에게도 간과할 수 없는 소통의 도구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것 같다. 인터넷은 지금도 계속된 진화를 거듭하고 있고 이제는 개인들도 인터넷 보다 구체적으로는 말해 소셜 테크놀로지를 통해 그 거대한 움직임에 함께하는 양상이다. 소비자로서가 아니라 이제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시키고 또한 소비하는 역할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Building Brand U.0

8월 27, 2009

Brands = Interaction + Feeling

David Armano 가 Youtube 를 통해 어떻게 Brand U.O 을 만들어갈 것인가..소개한 내용이다. 5가지 요소를 통해 좀 더 영향력 있는 Brand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Be Ubiquitous

Be Social

Be Interesting

Be Remarkable

Be Yourself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인사채용

5월 6, 2009

위 내용을 보면 앞으로는 인사담당자, 헤드헌터들이 소셜미디어에 대한 활용도, 활동 내역들이 채용  및 인사기준에 영향을 미칠 것 같다. 또한 슬라이드 내용을 보면 연봉이 높을수록, 젊은 층일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활용도가 높다고 조사한 결과를 인용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활동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것이고 이를 활용해 자연스럽게 비즈니스 관계 및 채용까지도 이루어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Social Technographics relates to recruiting

 The new candidate pool

 Turbo charge recruiting with social computing

 What about the economy?

 Align your company with this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