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technology’ category

봇(bot)의 혁명

11월 21, 2016

MS(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3월 스카이프와 슬랙, 텔레그램을 비롯한 여러 메시징 플랫폼을 지원하는 챗봇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 모음인 마이크로소프트 봇 프레임워크(Microsoft Bot Framework)를 공개했다. 또한 Facebook(페이스북)도 개발자들이 메신저와 슬랙 등에 챗봇을 구축할 수 있는 Bot Framework 을 출시해 1만여 개 이상의 봇이 현재 시장에 탄생해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전세계 IT 로봇 자동화 시장 규모를 TMR(Trnasparency Market Research)는 2020년에 약 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이유로 강력한 플랫폼으로 일반적인 모바일 앱 개발에 필요한 시간의 4분의 1 이상 세이브가 가능하고 비싼 서버 대신 개발과 유지비용에 절반 이상으로 절약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봇의 활동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이미 해외 통신사 AT&T는 단순 데이터 입력을 자동화시키고 있으며, 1-800 Flowers는 고객의 주문을 도와주고 있다. CNN도 속보 및 개인화된 뉴스를 전달하는 데 봇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스타트업에서도 다양한 봇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클로저라는 챗봇 서비스를 내놓은 ‘신의 직장’은 업무용 메신저의 패턴 속에서 사이트 링크에 대한 공유를 좀 더 쉽게 도와주기 위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들이 적용한 사례가 카카오톡으로 정부청사 사무실 위치를 안내해주는 챗봇 서비스다. 사용자가 챗봇에 찾고자 하는 부서 이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주소와 사무실 호수가 표시되는데 기존에 외부 민원인이 정부 기관 사무실을 찾고자 하려면 전화로 물어보거나 건물 내 배치도를 사이트를 통해 찾아봐야 했다. 이를 카카오톡이라는 메신저 플랫폼에서 쉽게 연동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hatBot 은 채팅 로봇의 줄임말이다. MS의 CEO 사티아 나델라는 16년 3월 열린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봇이 앱을 대체하고 디지털 개인비서가 새로운 메타앱(앱을 조종하는 앱)이 되면서 사람과 컴퓨터의 모든 상호작용에 AI(인공지능)이 침투될 것이라 했다. 사용자들이 앱을 추가로 설치하고 실행하는 것보다 메시저라는 단일 플랫폼 하에서 보다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봇이라는 개념이다. 고객이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하고, 어떤 요청사항들을 남기면 이를 봇이 알아서 수집하고 정보탐색하여 결과물을 가져오는 구조이다.

글로벌 IT업계에서도 페이스북이 메신저들 통해 날씨와 음식 주문 등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라든지, 구글의 메신저 기반 개인비서 서비스 Allo(알로)가 대표적인 챗봇들이다. 뉴스 검색 뿐 아니라 맛집 추천, 여행 정보, 날씨, 알람 설정이나 번역까지도 가능하다.

AI 의 시대(1)

11월 14, 2016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2006년에 IT업계에서 화두가 되었던 키워드 중에 하나가 유비쿼터스였다. 그리고 좀 더 깊이 들어가 에이전트라는 용어도 많이 소개가 되었는데 대행자 혹은 대리인이라는 의미의 에이전트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작업을 대행해주는 프로그램 정도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다. 1950년대 시작된 에이전트 기술은 사용자를 대신해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주는 소프트웨어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지속되어온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여기에 대중적으로 에이전트, 인공지능의 초창기 상용서비스로 알려진 것을 꼽는다면 SKT의 1mm 를 들 수 있겠다.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를 상징하기도 하는 1mm는 사람과 단말기의 친밀한 관계를 의미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그 당시 피처폰에서 캐릭터를 통해 인터랙션하는 서비스로 런칭하게 된다. 1mm를 통해서는 실시간 뉴스 알림, 영화, 맛집이나 날씨 정보 등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패턴을 분석해 외부 전문 서비스를 추천받는 식이다. 유비쿼터스의 핵심적 요소로 에이전트는 이렇게 사용자와 인터랙션하기 위해 캐릭터로 시작되어 10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다양한 외형적 디자인을 갖추고 우리 생활 속으로  파고들기 시작했다.

아마존의 Echo 에 도전장을 내민 구글의 Home 은 올 해 인공지능 분야, 에이전트 관련해서는 두 거대 IT 공룡의 격돌이 시작되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기술발전에 따라 음성인식과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술이 스피커를 비롯해 갖가지 외형적 디자인을 갖춘 인공지능 AI 서비스로 모습을 갖춰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Echo와 Home은 구글의 CEO가 언급했듯이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인공지능이 우선시되는 세상으로의 이동을 이끌어줄 인공지능 서비스의 원형이 될 듯 싶다.

구글 Home은 구글 어시스턴트에 기반하는데 Apple 의 시리, MS의 코타나, Amazon 의 알렉사가 인공지능에 기반을 두지 않은 가상 비서인 점과는 다른 개념이다. 어시스턴트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억해서 개인화에 대응한다. 구글의 검색과 지식 기반 정보에 접근해서 다양한 사물을 제어하고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수행한다.

 

 

 

2016 CES 화제의 제품들

1월 6, 2016

셍LED(Sengled)의 셍LED보이스 – 스마트 LED전구로 오디오 기능, 13W 출력의 블루투스 스피커 내정해 전구만 설치시 집안 내 어디에서든지 음악을 들을 수 있음. 마이크와 음성 제어 S/W를 탑재 음성명령으로 전구 On/Off 가 가능.

인플럭스(Influx)의 와이파이 라우터 도크 – 라우터 하단에 연결 시 네트워크 신호 강도를 최대 50% 증폭시켜주는 디바이스, 배경 간섭을 일으켜 무선 성능을 떨어뜨리는 신호를 줄여서 네트워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원리로 구현됨.

루마(Luma) 서라운디드 Wifi – Wifi 에 접속을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부모가 직접 자녀들의 Wifi 접속을 차단할수있음.

케이사(Keyssa)의 무선 커넥터 – 커피콩만한 크기에 솔리드스테이트 전자기 재료학 기술을 접목해 기기 어느 면에서든 연결할 수 있으며 두 기기가 아주 가깝게 있는 상태에서 6Gbps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

스누자(Snuza)의 피코(Pico) – 아기 기저귀에 부착할 수 있는 소형 센서. 배변활동, 체온, 잠자리 자세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스마트폰 앱을 통해 아이의 상태와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기 피부에 닿지 않으며 혼란을 주지 않면서 아이에게 도움을 주는 제품.

 360플라이(360fly) – 1개의 렌즈가 삽입된 360도 동영상 촬영이 가능. 카메라 촬영, 편집, 공유 기능을 지원하며 구글 카드보드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감상 가능.

ET워터(ET Water)의 유너티(Unity) – 스마트 모니터와 모바일 앱을 결합한 제품. 식물과 토양의 종류부터 기상 정보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분석해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해 보여준다. 사용자가 얼마나 더 사용할 수 있는지도 알려줌. 스프링쿨러 시스템 연동 시에는 사용량 초과 시 자동 차단도 가능.

자이즈(Zeiss)의 VR원 – Android와 iOS에서 연결해 사용 가능. 가상현실 환경에서 드론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상 가능.

 파세토(Fasetto)의 링크(Link) – 대용량 데이터 전송, 저장 가능한 무선 SSD 신제품. 디지털 카메라 내장된 Wifi 카드를 Link 와 연결 시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 최대 1900Mbps 속도로 동시에 7대 기기까지 실시간 정보 전송 가능.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

12월 15, 2015

어느 날, 서울에서 복잡하다고 한 명동을 저녁식사와 공연을 볼 계획을 가지고 찾는다고 해보자. 내 손안에 있는 스마트폰이 지금 도심 한복판에서 시위로 인해 교통혼잡 중이고 그래서 예정된 공연시간을 맞추기 위해서는 어디에서 주차를 하고 지하철로 광화문역까지 이동해 공연을 보고 식사는 어디에서 하면 좋을지 추천해준다…….그리고 연말의 혼잡한 도심을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식사 후 주차한 곳에 바로 이동하지 말고 레스토랑 근처에 할인 이벤트를 하고 있는 라이브 뮤직 카페에서 차 한잔을 하고 가면 1시간을 길에서 허비하지 않는다는 것까지 예측해서 알려준다…..

이런 시나리오가 언제쯤 가능할까. 인공지능이 우리 생활속에 파고들면 가능한 이야기이기도 할 것 같다. 싱가포르에서는 이미 이런 인공지능으로 인간의 행동과 사회 인프라 시스템의 변화를 예측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약 2년동안 피실험자가 쇼핑몰, 대형운동경기장, 대형 공연장 등에서의 교통 이용 패턴이나 선호 등을 분석해서 인공지능 엔진을 통해 혼잡한 시간에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여러가지 다양한 개인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영화 마이너리 리포터 같은 장면에서 나오는 내가 이동하는 경로에 적절한 맞춤화된 광고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나리오도 충분히 가능해질 수 있겠다.

FEEL XE – Promotion for JAGUAR XE

9월 12, 2014

재규어에서 XE 모델에 대한 프로모션 행사를 런던에서 진행했다. 재규어에 따르면 후륜구동 방식으로 이전 모델 보다 진보한 경량 구조와 탁월한 주행 감각을 제공하는 스포츠 세단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한 모델이라고 한다. Aluminium-intensive monocoque 가 바로 그 경량구조를 대변한다. 차체의 75%를 경량 알루미늄으로 구성해서 강성과 동시에 경량화에도 성공해 고연비를 또한 자랑한다고 한다.

무엇보다 이번 FEEL XE 프로모션 영상을 보면서, 영국 템즈강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등장이 압도적인 것 같다. 전세계 온라인 실시간 중계는 물론 무대나 연출 부분 모두 사상 최대 시승회 규모를 선보였다. 특히 1960년식 재규어 마크 2 경찰차 호위를 받으며 헬리곱터 상공에서 강으로 옮겨 지상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재규어를 보면 브랜드에 대한 지속적인 리뉴얼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듯하다. 본 행사에서는 XE의 창조와 혁신 이미지를 표현했다고 한다. 제품 디자인부터 몇년전부터 작지 않은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재규어를 보면서 디자인 뿐 아니라 브랜드 경험에 대한 고객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함을 느낀다.

혼다가 꿈꾸는 미래

10월 22, 2013

혼다에서 만든 영상으로 보이는데 처음에 볼트 하나가 다양한 상상의 머신으로 변신하는 스토리의 영상이다.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쟁력

8월 2, 2013

AWS(Amazon Web Services) 는 아마존 웹 서비스를 일컫는 말이다. 요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데 사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아마존을 빼놓기는 힘들다. 아마존닷컴이 제공하는 각종 원격 컴퓨팅 서비스(웹 서비스)가 AWS다. 좀 더 구체적으로 풀면, 아마존 웹 서비스는 다른 웹 사이트나 클라이언트측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상당수는 최종 사용자에 직접 공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개발자가 사용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마존은 어떤 곳인가. 1995년 설립된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가 바로 아마존이다. 아마존이 그 당시 자회사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설립하고 서버 인프라를 빌려주는 EC2 서비스를 선보였는데 서버의 사용량에 대해 탄력적으로 이용해서 과금하는 체계, 가상화된 인프라, 서버의 탄력적 확장성의 특징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서비스였다. AWS는 IT시장 패러다임 자체가 제조에서 서비스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탄생한 서비스라고 봐야한다는 것이 전문가 시각이다. IT인프라, 자원을 소유하던 시대에서 원하는 시점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시대로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실 IT외 산업 분야에선 렌트라는 사업모델이 자리잡고 있었지만 IT분야만큼은 더딘 측면도 있었다. 이런 모델을 IT분야에 확장시킨 기업이 바로 아마존인 셈이다.

1994년 인터넷 서점 사업 시작

2006년 기업 대상 IT인프라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시작

‘아마조니피케이션’ 신조어

7년 동안 37번의 가격 인하 단행으로 가격 경쟁력 선도

제품 개발의 첫 단계는 언론보도문 작성부터 시작

소비자가 사용하는 방법을 소비자 입장에서 정리

모든 혁신은 고객 중심의 혁신이어야 한다는 문화가 존재

제품 개발은 엔지니어 주도가 아니라 고객 주도

고객으로부터 거꾸로 일한다는 특별한 개발 프로세스가 그 비결

위 일부 아마존 임원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인터뷰 기사를 통해서 아마존이 클라우드 서비스, 웹서비스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고, 강점 요인들을 알 수 있게 한다. 창립자 Jeff Bezos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마존은 지구 상에서 가장 고객 지향적인 회사가 되는 것이 목표” 다. 단기적인 이익보다 장기적인 비전을 추구한다는 의미인데 어떤 기업인들 이런 비전과 목표가 없겠다만은, 현재 글로벌 IT기업 중에서 혁신적이라 일컬었던 애플의 뒤를 이을 기업으로 아마존을 지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Web of Things, 사물간 지능통신의 시대를 엿보다

7월 25, 2013

사물끼리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가능한 일인가? 여기서 말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소통’을 의미한다. 단순히 기기가 서로 명령어를 주고 받고 하는 수준이 아니라 사람이 기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처럼 기기들 간에도 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고, 상황에 따라 단편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다양한 판단들과 정황 분석을 해주는 수준이다. Machine To Machine, M2M 이라 불리는 사물지능통신은 우리 생활 주변에 있는 어떠한 기기들 간에 통신칩을 통해서 연결된 Web of Things 를 통해서 구체화되고 있다.

M2M을  위키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의하고 있다.

“통신ㆍ방송ㆍ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ㆍ연계해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기기가 센서로 모은 단편 정보를 다른 기기와 통신하면서, 인간이 윤택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서로 반응해 주변 환경을 조절해 준다.”

텔레비전·냉장고·세탁기 등 가전부터 자동판매기·현금인출기·자동차·건강정보를 수집하는 헬스케어 장치, 가스·전기·수도 검침기, 온도·습도 조절기까지 M2M 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는 기기는 사실상 무궁무진하다.

wot-ill

Image Source : Make products smart

그런데 사물끼리 소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동일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미 국제적으로는 영어가 대표적인 공용화된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아닐까 싶다. 마찬가지 사물도 사물간에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동일한 언어가 필요한데 이를 기술적으로는 Protocol ,프로토콜을 맞춘다고 이야기한다. 지난 90년대 PC통신 시대를 지나 2000년대 웹(Web)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Netscape 라는 브라우저의 등장으로 웹은 무한대로 사람들의 소통을 확장시켜 왔다.

PC나 스마트폰의 URL상에서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한다는 것은 해당 주소와 연결된 서버(Server)의 특정 페이지에(해당주소) 접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게 소위 말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연결이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버의 특정 페이지와 소통한다는 것인데 여기서 특정 페이지를 사물로 대체한다면 사물기반의 인터넷, Web of Things 의 개념이 완성된다. 사물이 제공해주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가지고 웹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된 생활 속 기기에 통신 모듈칩을 통해 Web으로 연결된 기기들 간에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적재되어 있는 물건들이 냉장고 내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탐지하고 이를 내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에 데이터를 알아서 전송해주는 방식이다. 지금 OO물건이 떨어졌으니 당신이 자주가는 OO마트에서 구입이 필요한 리스트를 뽑아준다거나, 쓰레기통에 쓰레기 차서 밖에 있는 나에게 트윗으로 지금 가득하니 비워달라고 날릴 수도 있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Internet of Things 관련해서는 조사기관에서 아래와 같이 예측하는 기사가 있기도 하다. 요지는 Web of things 가 실시간 정보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데 중요해질 것이며 중국, 인도, 브라질 같은 나라에서도 소위 M2M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는 얘기이다.

  • 65% think the Internet of Things’ biggest challenge in managing and analyzing the resulting real-time data
  • IT decision makers China, India and Brazil appear more eager for the M2M revolution: Gives companies greater insight into their business: China (96%), India (88%), Brazil (86%), Germany (79%), U.S. (74%) and UK (61%),  Enables businesses to respond to real world events: China (92%), India (86%), Brazil (82 %), Germany (82%), U.S. (78%) and UK (73%), Increases business efficiency:  Brazil (54%), UK (53%) and U..S (49%), Increases productivity for employees:  China (69 percent) – significantly higher than any other countries surveyed
  • 89% respondents across all surveyed countries agreed that widespread availability of LTE/4G infrastructure was vital for the success of the Internet of Things

SAP_m2m_April_23

 

어떻게 하면 기술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

7월 17, 2013

“어떻게 하면 기술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

카네기 멜론 대학의 한 연구원이 빌게이츠에게 던진 질문이었다고 한다. MS가 주관하는 연구 개발 컨퍼런스인 Microsoft Research Faculty Summit에 빌게이츠가 참석해서 사용자가 요청하기 전 도움을 주는 기술의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했다고 한다.

“수십 년 동안 논의되어 온 것이지만, 이제는 정말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우리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를 가는지 알고 있고 이들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알고 있다

“이들 커뮤니케이션 중 일부를 이용해 우리는 실질적으로 텍스트를 살펴보고, 음성을 살펴보고, 사용자의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시도해 볼 수 있다. 우리는 점점 더 연결되고 있고, 따라서 누군가 특정한 종류의 선물을 찾거나 어떤 방법으로 여행을 계획할 때,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근접하게 일치하는 것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를 위해 소프트웨어가 할 수 있는 것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것 사이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

빌게이츠가 답변한 위 내용을 보면 현재 IT 컴퍼니들의 궁극의 방향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구글이나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기업들이 각각의 플랫폼 하에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클라우드니 빅데이터 하는 얘기들도 이런 움직임의 자연스런 연속선상에 있다. 사용자들이 플랫폼 안에서 쏟아내는 데이터는 정보로 가공되어 의사결정의 결정적 근거로 쓰일 뿐 아니라 빌게이츠가 이야기하는 사용자가 미래의 원하는 것을 현재 시점에서 예측하고 이를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궁극으로는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것과 이를 소프트웨어가 예측해 제공해주는 것과의 격차는 점차 줄어들 것이라는 점이다. 

MS에서 1995년에 내놓은 ‘개인 에이전트’ 가 있는데 그 당시 윈도우를 사용했던 사용자들은 화면상 코너에 강아지가 튀어 나와 무엇인가를 언급하는 것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캐릭터가 바로 로버란 이름의 강아지인데 이는 화면 상의 가상 캐릭터로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할 때 소프트웨어가 판단하여 캐릭터가 개입하게 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나서 몇 년안에 이 캐릭터는 사라진다. 종적을 감추는데 이에 대해 빌게이츠가 평가한 대목이 있다. 

imagen3_zps491d311c

“사람들은 언제나 이런 일을 할 때 실수를 한다. 시스템이 숫자표를 계산하려고 할 때, 또는 오래 전에 마이크로소프트가 개인화 기능으로 시도했지만 분명히 어설펐던 마이크로소프트 밥 방식처럼 강아지가 나와서 ‘아이고, 이건 잘못하셨네요’라고 말해 준다”

“이런 방식이 다시 떠오를 것이며, 아마도 한층 더 정교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실수 대부분처럼 당시에 우리는 너무 앞서 있었다”

결국 그 당시 캐릭터를 이용한 개인 에이전트 기능은 그 당시 기술 타임라인에 너무 앞선 기술이었던 셈이라고 말한다.  어떻게 보면 그 캐릭터는 소프트웨어에서  초기 개인화된 에이전트 기능의 효시가 된 셈이지만 지금은 굉장히 다양한 형태로 개인화된 서비스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 페이스북의 소셜검색이나 구글의 나우도 어떻게 보면 형태는 다르지만 개인화된 에이전트 기능들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제는 3D 프린팅 시대인가

7월 16, 2013

미국 NASA는 프린터로 음식을 개발하고 있는 SMRC에 12만 5,000달러를 투자했다고 한다. 3D 프린팅 기술이 이용됐는데 이를 이용해 우주인들의 우주식으로 음식을 공급할 계획에 착수한 듯하다. 3D프린터로 가장 손쉽게 만들 수 있다고 하니 앞으로 개인/가정에도 레시피만으로도 프린터로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시대가 전망된다.

가트너는 2016년께는 기업용 3D 프린터 가격이 2,000달러 미만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는데 이 정도 가격 수준이면 많은 기업 B2B 시장에서도 3D 프린팅이 많이 보급되어질 것 같다.

위 영상은 미국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에서 개발된 3D 프린팅 기술인데 주목을 끄는 점은 금속을 사용해서 프린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전자제품 회로기판 등에 응용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프린터기 노즐과 비슷한 주사기에 액체금속을 넣어서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오브젝트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액체 금속은 갈륨과 인듐의 합금이라고 하는데 이 금속이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해 모양을 액체 금속이 의도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이 기술이 아직까지는 여러가지 제약사항으로 상용화하기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기존 3D 프린팅이 플라스틱만을 이용한 점을 확장시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