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tagged ‘인공지능’

Zero Touch UI

12월 26, 2016

제로터치(Zero-touch)  UI 가 앞으로 사용자경험을 이끄는 큰 흐름이 될거 같다. 올해 2016년을 돌아보면 IoT가 ICT에서 상당히 화두가 되고 각 영역에서 다양한 서비스들과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다양한 사용자 시나리오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는 분위기다. 가전 제조사 및 통신사들이 기존 홈 서비스 및 제품에 IoT 솔루션/서비스를 입혀서 시장을 새롭게 선도하려는 움직임이 치열하다. 한편으로는, 인공지능 서비스도 하반기 SKT에서 NUGU가 출시되고 글로벌 ICT업계에서도 다양한 AI서비스들을 선보이는 한해였다.

테마는 다르지만, 그 이면에는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관점에서는 이제는 직관적으로 비주얼(Visual)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계를 넘어서 보이지 않는 인터랙션 요소에 대한 설계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기기간에 통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도 점차 사용자가 개입해서 의사결정 할 요소들이 생략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가상개인비서(Virtual Personal Assistants), 봇(Bot) 이 이제는 스마트폰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많이 줄여줄 것이기 떄문이다.

이미 페이스북 같은 경우 상거래(Commerce) 분야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오가는 데이터에 기반해서 온라인 쇼핑/커머스 경험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주문 내역에 기반해 좀 더 스마트한 경험 전후 과정에서의 사용자 의사결정을 대신 내려준다거나 의미있는 정보들을 정제해서 제공함으로 인해 인터페이스 및 상호 인터랙션을 단축시킨다. 이를 극대화하면 Zero-Touch UI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기술등도 한층 진화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2020년에는 개인용 기기 70억대, 웨어러블 기기 13억대 및 IoT기기 약 60억대 중 20억대의 기기 및 장비들이 인터페이스에서 상호작용 없이 제로 인터페이스로 작동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결국 맥락에 따른 경험요소를 자연스럽게 정보판단으로 연결해주고 이를 통해 에측 가능한 범주에서의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사용자경험 설계가 중요해질 것이다.

AI 의 시대(1)

11월 14, 2016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2006년에 IT업계에서 화두가 되었던 키워드 중에 하나가 유비쿼터스였다. 그리고 좀 더 깊이 들어가 에이전트라는 용어도 많이 소개가 되었는데 대행자 혹은 대리인이라는 의미의 에이전트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작업을 대행해주는 프로그램 정도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다. 1950년대 시작된 에이전트 기술은 사용자를 대신해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주는 소프트웨어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지속되어온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여기에 대중적으로 에이전트, 인공지능의 초창기 상용서비스로 알려진 것을 꼽는다면 SKT의 1mm 를 들 수 있겠다.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를 상징하기도 하는 1mm는 사람과 단말기의 친밀한 관계를 의미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그 당시 피처폰에서 캐릭터를 통해 인터랙션하는 서비스로 런칭하게 된다. 1mm를 통해서는 실시간 뉴스 알림, 영화, 맛집이나 날씨 정보 등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패턴을 분석해 외부 전문 서비스를 추천받는 식이다. 유비쿼터스의 핵심적 요소로 에이전트는 이렇게 사용자와 인터랙션하기 위해 캐릭터로 시작되어 10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다양한 외형적 디자인을 갖추고 우리 생활 속으로  파고들기 시작했다.

아마존의 Echo 에 도전장을 내민 구글의 Home 은 올 해 인공지능 분야, 에이전트 관련해서는 두 거대 IT 공룡의 격돌이 시작되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기술발전에 따라 음성인식과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술이 스피커를 비롯해 갖가지 외형적 디자인을 갖춘 인공지능 AI 서비스로 모습을 갖춰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Echo와 Home은 구글의 CEO가 언급했듯이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인공지능이 우선시되는 세상으로의 이동을 이끌어줄 인공지능 서비스의 원형이 될 듯 싶다.

구글 Home은 구글 어시스턴트에 기반하는데 Apple 의 시리, MS의 코타나, Amazon 의 알렉사가 인공지능에 기반을 두지 않은 가상 비서인 점과는 다른 개념이다. 어시스턴트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억해서 개인화에 대응한다. 구글의 검색과 지식 기반 정보에 접근해서 다양한 사물을 제어하고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수행한다.

 

 

 

A System Designed For Answers : Watson

10월 19, 2011

Watson, A System Designed For Answers 이라고도 하는 정답 도출 특수 설계 시스템을 IBM이 선보였다. 자연어 처리를 비롯해 기계학습, 지식표현, 추론, 심층 분석 등의 기술들이 총망라해 사람의 자연어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정답을 도출해낸다.  IBM은 자연어 처리 과정에 드는 시간을 대폭 줄이기 위해 병렬 분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Watson은 정보 검색 도구로 질문자의 질문을 정확히 이해한 후에 정답을 찾고 음성으로 대답하는데 이때 위에서 얘기한 병렬 분산 시스템과 다양한 로직들을 통해 정답을 찾아나간다. 물론 아래 영상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나오지만 100% 완벽하진 않다. 오답을 내기 시작할 경우 걷잡을 수 없을 정도의 통제 불능이 된다. 이런 부분이 아직 한계로 지적되는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Watson 의 연구결과는 의미있게 생각해 볼 만하다.

기계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10월 25, 2008

Singularity 

지난 경영혁신 강의를 통해 접한 개념인데 최근에 지인 중 한 분이 A.I 쪽을 연구하는 분이 있어 좀 더 관심을 가져 보았다.   

기술 발전이 거의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미래의 가상적인 시점

Ray Kurzweil은 singularity를 기술 진보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점이라고 정의한다. 그가 쓴 책 ‘특이점이 온다’ 에서는 2030년 전후 지능 면에서 기계와 인간의 구별이 사라지는 때가 온다는 것이고 이 때가 곧 singularity 라고도 정의한다.

인간의 지능을 갖춘 기계가 나오면 어떻게 될까?

기계가 생각할 수 있다면 고로 존재하는 것일까?

실제로 1997년 러시아 출신 체스 세계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가 IBM 슈퍼컴퓨터 ‘딥블루’와의 체스 대결에서 1승3무2패로 패배했다. 언젠가는 체스보다 복잡한 바둑에서도 기계가 인간을 이길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트랜지스터라는 하드웨어적 기술과 소프트웨어의 발전을 근거로 제시한다. 정말 수십 년 안에 영화 ‘메트릭스’처럼 기계에 플러그 인한 상태로 현실과 컴퓨터 세상을 오고가는 가상과 현실이 동시대에 존재하는 세상이 올 지도 모르겠다.

그 지인은 인간의 생각을 예측하는 분야에 대한 학문을 연구한다. 예를 들면 내가 바로 5분 후에 할 일을 예측하는 것이다. 가능할까? 인간의 지능은 그렇다치고 정말 생각까지 예측한다면 정말 어떤 일이 벌어질까 자못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