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tagged ‘소셜커머스’

소셜커머스의 진화 : Swipely

11월 29, 2011

Credit Card 정보를 가지고 SNS를 활용하는 소셜커머스 서비스가 있다. 바로 Swipely 인데 이는 기존의 소셜커머스와는 좀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어트랙티브한 포인트는 사용자가 직접 구매한 상품의 신용카드 결제 내역을 자동으로 히스토리화 해서 SNS연계를 통한 피드백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실제적인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해서 SNS활동이 이루어지게 유도하였다.

 

사용자는 단순히 제품 구매 내역에 대한 데이터만을 제공하지만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개개인 맞춤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으로 디자인되어있다. 제휴업체에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캐쉬백을 받는다거나, 이후에 지속적인 마일리지 적립, 또한 자신의 결제 내역을 지도에서 트래킹 할 수가 있으며 신뢰성 있는 리뷰 작성 시 추가 마일리지 등이다.

Swipely 서비스가 기존의 SNS커머스=50% 반값이라는 등식으로 일회성 이벤트 혹은 단발성으로 이루어지는 소셜커머스의 형태를 좀 더 관계 위주의 형태로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는 모델이라는 점이 돋보인다. 물론 신용카드 구매 내역에 대한 개인 정보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양면성이 있겠지만 제휴업체 입장이나 실제 구매를 기반으로 피드백이 일어난다는 점은 관계 지향적인 커머스 형태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점은 분명 주목할 만하다.

현재 국내의 경우 티몬,위메프, 쿠팡,그루폰 등을 비롯해 수많은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난립하고 시장 또한 언론에서 여러번 이슈가 된 것처럼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불신, 출혈 경쟁으로 치달아 레드오션이 되어버린 느낌이다.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데에 급급한 모습이라는 점에서 위 Swipely 와는 대비되는 점이다. 자신의 소비 패턴을 모으고(Logging), 이를 공유하고(Sharing), 이를 통해 맺어진 관계를 통해 끊임없이 피드백(Feeding)이 이루어지는 형태가 ‘관계’ 중심의 SNS커머스 모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래는 Swipely와 이와 유사한 형태의 Blippy 라는 서비스의 소개 동영상이다.

Image Source : Flickr

 

SNS커머스의 현황과 전망:지속가능한 모델일까?

10월 24, 2011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한 비즈니스모델 중 하나가 그루폰의 SNS커머스다. 회사가치만 해도 약30조원에 달할 정도로 최근 몇년 사이 급성장을 해버렸다. 이에 한국에서도 티켓몬스터를 필두로 위메이크프라이스, 쿠팡 등의 순수 국내 사업자들과 그루폰 한국법인 등 소셜커머스 시장이 치열한 양상을 띠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이런 소셜커머스의 국내외 사업자들을 두고 더 나아가 이 비즈니스 모델 자체를 두고 향후 전망에 대한 시각들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주위에서도 아직 소셜커머스가 일부 사용자들의 생활에 깊숙히 침투해있긴 하지만 예전같지 못하다는 것이 개인적으로 느끼는 바이기도 하다.

ReadWriteWeb 사이트에서 이와 관련된 최근의 소셜커머스 시장 현황에 대한 자료가 발표되었는데..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시장이 형성하는 실 구매자가 2천6백만명 중에, 사용자 점유율이 그루폰이 약88%, 리빙소셜이 약 62% 정도로의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와 여자의 공동구매 패턴 등을 엿볼 수 있는 통계 자료이다.  재미있는 것은 쿠폰을 구매한 후에 만기일을 넘겨 무용지물된 비율이 전체 20%인 약12억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이런 경우를 보완해서 티몬나우와 같이 실시간 지역 연계 쿠폰 서비스의 경우 제한된 시간내 사용하지 못할 경우 환불처리가 된다.

“….Groupon sold 120,000+ ferry tickets in Hong Kong 2 weeks before the ferry went bankrupt today Thurday Sept 15 (macao dragon). pump and dump all people now are chasing groupon for refunds…..the losses to groupon are staggering when they dont verify or do quality checks…”

위와 같은 사례에서처럼 그루폰형 사업 모델의 지속성 내지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정도로 사업 영역의 확대와 함께 동시에 여러가지 위험 리스크를 안고 있는 구조로 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초기에는 순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영업 위주보다는 기존 사업자들의 광고, 홍보 전략을 답습하는 경향이 다소 보이곤 했다.

소셜커머스 모델은 국내 사업자들이 지난 짧은 기간 동안 펼쳐온 전략을 보면 외식분야부터 시작해 공연, 여행, 문화, 체험, 전시, 생활용품 공동구매 등의 형태까지 확장해 나가는 모습이다. 그런데 최근 버스, 공중매체, 포탈 사이트의 광범위한 광고로 인해 새로운 가입자 유치 비용이 증가하고 있고, 긍정적인 경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험에 대한 기존 서비스 가입자들의 이탈현상, 대동소이하게 보이는 경쟁 사업자간의 유사 상품 및 서비스로 인한 사용자들의 피로도 증가, 고객 1인당 매출 감소 등의 현상이 맞물리면서 과연 이 비즈니스 모델이 향후에 어떻게 지속가능할 수 있을지 그리고 지금까지의 성장에 대한 시장의 평가 향후 전망 등에 대해서는 SNS커머스 모델의 진화와 함께 차별화 전략 없이는 그리 밝아보이지 않아 보인다.

아마도 새로운 스토리, 콘텐츠가 있는 사업모델이 나올 경우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법하다.

 

 

그루폰 한국 상륙…

3월 8, 2011

작년 가을에 소셜커머스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라는 주제를 가지고 SNS 커머스 시장을 살펴본 바 있다. 작년 초에 불기 시작한 국내의 SNS커머스 시장이 티켓몬스터를 시작으로 수많은 업체들이 생겨났고, 대기업들까지도 가세하는 형국이었다.  사실 소셜커머스의 시작은 미국의 그루폰이다.  2008년 창립되어 1년 반 정도만에 연매출이 3억5천만 달러, 기업가치는 13억달러에 달할 정도이고, 현재 미국 70여개 지역과 전세계 20개국에도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데.. 작년까지만 해도 한국에 들어온다는 얘기는 무성했는데 드디어 3월 14일 한국 런칭을 준비하고 있었다. 사실 얼마 전에 카페에 갔다가 무심코 봤던 그루폰 카달로그를 보면서 드디어 들어오는 구나 하고 있었던 찰나였는데 사이트까지 티저식으로 내밀고 있는 거 보면 단단히 준비하고 있는 모양이다.

현재 소셜커머스 시장은 티켓몬스터, 데일리픽(인수됨), 쿠팡, 위메이크프라이스 등이 상위권을 형성하며 마케팅, 홍보에도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데 그루폰이 등장하게 됨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올해 소셜커머스 시장이 어떤식으로든 정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방점을 찍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최근 뉴스 등에서 소셜커머스의 상거래 후의 문제에 대해서 불거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점들도 이 업계가 안고 있는 숙제라 생각한다. 소비자와의 업체들간의 신뢰의 장을 만들지 못하면 분명 도태될 것으로 보이고 그로 인한 손해는 고스란히 업체와 소비자들이 떠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울러 소셜커머스 형태도 약간의 진화가 예상된다. 언뜻 보면 본래의 SNS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곳이 과연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루폰이 한국 시장에 어떻게 들어오고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소셜커머스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10월 20, 2010

Groupon 이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미국 전역의 소셜 커머스 업체들을 인수하면서 순식간에 세계 최대의 소셜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2008년 창립되어 1년 반 정도만에 연매출이 3억5천만 달러, 기업가치는 13억달러에 달할 정도이다. 현재 미국 70여개 지역과 전세계 20개국에도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얼마 전 서울 시내 버스 배너의 상당 부분이 국내의 한 소셜커머스 업체가 새롭게 런칭하면서 서울 시내 버스 배너 광고의 약 절반 가량에 상당한 마케팅 비용을 집행하면서 출범하면서 기존에 벤처 형태로 국내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도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듯한 분위기다. 또 바로 최근에는 올해 초에 설립된 국내 소셜커머스 벤처기업 딜즈온에  Groupon 이 지분 투자 형식으로 한국에 진출한다고 한다.

국내소셜커머스 시장이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와중에 기존 전자상거래 업체 및 대기업 그룹까지 가세하는 상황으로 전개되는 듯하다. 경매 방식을 통해 제한된 시간 내에 올라온 상품을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수량 이상이 공동구매가 되어야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에서 마케팅 능력보다도(사실 마케팅은 고객들이 알아서 해준다. 이게 바로 소셜 커머스의 본질적인 매커니즘) 상품 소싱 능력이 절대적인 경쟁력이 될 것 같다.